안녕하세요. 새해 소망하시는 모든 일들 성취하는 한해 되시길 기원합니다.
지난번 HR포스팅에서 시행 예정으로 안내드렸던 일ㆍ가정 양립 지원 제도 중 육아휴직 급여 인상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인상이 2025.1.1.부터 적용됩니다.
이번 실무초밀착 HR포스팅에서는 육아휴직 급여 인상 내용과 2025년 개편된 출산육아기 고용안정장려금 제도를 안내드리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ㆍ모성보호 3법, 이제 어떻게 달라지나? 인사팀이 꼭 알아야 할 핵심정리(+리포트)
ㆍ[인사팀 필수체크!] 육아휴직부터 출산전후휴가까지, 예시로 쉽게 정리한 법 개정 핵심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HR 포스팅,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최신 HR 트렌드와 실무 팁을 놓치고 싶지 않으신가요?
지금 바로 3초 뉴스레터 신청폼을 작성하고,
유익한 HR 포스팅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신청하기]
1. 육아휴직 및 육아기 단축 지원 제도 (근로자 지원)
(1) 육아휴직 급여 인상
(2) 육아휴직 사후지급금제도 폐지
(3) 한부모 근로자 육아휴직 특례 지원금 상한액 인상
(4) 6+6 부모육아휴직제 지원금 상한액 인상
(5)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금 인상
2. 출산육아기 고용안정장려금(사업주 지원)
대체인력지원금과 업무분담지원금의 지원대상이 육아휴직까지 확대되고, 대체인력지원금은 직접 고용한 경우 뿐만 아니라 파견근로자를 대체인력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지원되며, 남성 육아휴직에 대한 인센티브제도가 신설되었습니다.
대체인력지원금의 경우 2025.1.1. 이전 고용된 출산전후휴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의 대체인력에 대해서도 2025.1.1. 이후의 지원기간에 대해서는 인상된 지원금이 적용됩니다.
(1) 대체인력지원금
(2) 업무분담지원금
(3) 남성 육아휴직 인센티브(신설)
Posted by 김동미 노무사
'인사, 노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달라지는 노동관계법률 (0) | 2025.01.13 |
---|---|
<행정해석> 근로자가 연차를 2시간 단위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요건 외의 사유로 휴가의 시기를 변경할 수 없다. (0) | 2025.01.10 |
바뀐 통상임금 판단기준, 가장 궁금한 것 (1) | 2025.01.03 |
팩트체크! 딱 1년 채우고 퇴직 vs 1년 1일 근무 후 퇴직, 어떤게 유리할까 (1) | 2025.01.03 |
[바뀐 통상임금 판단기준 사례풀이] 당장 이번 설 명절 상여금은, 어떻게 처리해야하나 (0) | 2025.01.03 |